본문 바로가기

금융/금융정보96

대학생이 내집마련 준비 하는 법 '재테크'라는 용어는 대학생보다 사회 초년생이나 직장인에게 좀 더 익숙합니다. 대학생이라는 사회적 위치의 특성상 고정 수입과 종잣돈이 많지 않기 때문에 재테크는 거리가 멀게 느껴질 수 있죠. 하지만 한 조사에 따르면 대학생 5명 중 3명이 청약저축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최근 몇 년 새 스마트폰 활용 등으로 금융 거래가 쉬워지면서 점차 많은 대학생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재테크와 경제 활동에 뛰어드는 연령대가 점차 내려가고 있는 추세이죠. 이처럼 많은 대학생들이 재테크에 관심을 갖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재테크를 어렵고 멀게 느끼는 대학생 여러분이 있다면 오늘 소개해드리는 내용을 주목해주세요. 대학생 통장 관리법과 인기 재테크 방법인 주택청약, 그리고 재테크 노하우 등을 소개해드립니다... 2018. 8. 7.
나도 모르게 내는 세금들 얼마나 될까? 자동차로 출근해 점심시간에 커피 한 잔을 마시고 퇴근 후 저녁을 먹으며 술 한 잔을 곁들입니다. 가끔은 영화를 보거나 해외여행을 떠나기도 하죠. 오늘은 이 모든 행동에 부과되는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4,500원 담배 한 갑에는 담배소비세 1,007원, 부가가치세 433원, 개별소비세 594원, 지방교육세 332원, 국민건강증진부담금 841원 등 총 3,318원의 세금이 붙습니다. 알코올 도수가 1% 이상인 음료에는 주세가 매겨집니다. 맥주나 소주의 경우 공장출고가의 72%가 주세로 붙죠. 여기에 교육세(주세액의 30%), 부가가치세 10%가 더해집니다. 휘발유를 주유할 땐 평균 휘발유 1리터 1,500원 당 교통세 약 529원, 주행세 약 137원, 교육세 약 80원 등 총 746원의 세금을 내게.. 2018. 8. 5.
우리나라 사람들은 어디에 돈을 쓸까? 한국인의 소비 지출 행태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한 달에 얼마를 쓰고 어떤 곳에 돈을 많이 쓸까요?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로 한국인의 소비 지출 행태를 알아봤습니다. 우리나라 가구당 월 평균 지출액은 255만 6,800원입니다. 가구 구성원 수로 보면 1인 가구는 137만 3,000원, 2인 가구 300만 8,000원, 3인 가구는 310만 1,300원, 4인 가구는 379만 7,900원을 지출하죠. 라이프스타일별로 보면 도시근로자의 한달 지출은 290만원으로 평균보다 다소 높고, 34세 이하 1인 가구는 160만 8,000원으로 평균보다 약 100만원 낮았습니다. 자녀가 있는 가구는 없는 가구보다 한달에 140만원 정도 더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죠. 가장 많이 쓰는 항목은 14.4%를 기.. 2018. 8. 4.
내 연봉 3000만원 몇 등일까?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매달 통장에 찍히는 내 급여가 많은 편인지 적은 편인지, 내 연봉 순위는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질 때가 있습니다. 옆자리에 앉아 있는 동료 또는 다른 회사에 다니는 지인들은 보통 얼마를 받는지도 궁금해지죠. 이런 의문을 해결해주는 곳들이 있습니다. 나의 연봉순위가 국내와 세계에서 몇 위에 해당하는 것인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국내의 연봉 순위는 한국납세자연맹의 연봉탐색기 (www.koreatax.org/tax/taxpayers/salary3/salary.php)를 이용하면 알 수 있습니다. 연봉탐색기는 내 연봉이 전체 근로자 가운데 어느 정도 순위에 자리하고 있는지, 실 수령액은 얼마인지 등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데요. 2014년 연말정산한 직장인 1,688만.. 2018. 8. 3.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 우대금리 모르면 손해!! 청년층을 대상으로 기존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청약 기능과 소득공제 혜택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10년간 연 최대 3.3%의 금리와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 7월31일 출시되었습니다.앞서 국토교통부는 지난 7월 25일 저소득·무주택 청년의 주택 구입 및 임차 자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재형 기능을 강화한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을 출시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가입 대상은 만 19세 이상 29세 이하(병역 기간은 별도로 인정)이고, 연 3000만원 이하의 소득이 있는 무주택 세대주여야 합니다. 해당 대상은 주택도시기금 9개 수탁은행을 통해 이 통장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자는 물론이고 프리랜서와 학습지 교사 등도 가입 대상입니다. 다만 재원인 주택도시기금의 재무 건전성 등을 고.. 2018. 8. 1.
월급과 실수령액은 왜 다를까? - 사회초년생 월급명세서 해부! 직장인이라면 한 달 중 가장 기다리고 설레일 날, 바로 월급날! 특히 신입사원이라면 더욱 두근대는 마음으로 월급명세서를 들여다볼 텐데요. 생소한 용어들로 가득한 명세서를 보고 혼란스러워 실수령액만 확인하고 덮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 또 실수령액을 확인하고 '이거 내 월급 맞나?'하는 실망감을 가지고도 하고, 또 어떤 달은 '왜 이렇게 많이 들어왔지?'하기도 하는데요. 어떻게 실수령액이 도출되는지 플러스 항목과 마이너스 항목으로 나눠 알아봤습니다. 기분 좋은 왼쪽 라인, 플러스(+) 항목들월급명세서의 왼쪽 줄에는 내가 받게 되는 금액들이 나열돼 있습니다. 더 길게, 더 큰 액수가 채워졌으면 하는 왼쪽 라인에 어떤 항목들이 있는지 먼저 보시죠!기본급정해진 근로시간에 대해 지급되는 기본임금입니다. 본봉, 본급.. 2018.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