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고 일어났더니 상폐?! 내 주식이 상장폐지될 확률은? ‘보르네오 가구’, ‘경남제약의 레모나’, ‘국순당의 백세주’, 그리고 ‘코오롱티슈진의 인보사’. 주식에 전혀 관심 없는 사람이라도 한 번쯤은 들어본 이름인데요. 전 국민이 알 만한 이 회사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이들은 주식시장에서 이미 상장폐지 됐거나 곧 상장폐지 될지도 모르는 종목입니다. 보르네오 가구는 상장폐지됐고 경남제약, 국순당, 코오롱티슈진은 상장폐지의 첫 단계인 관리종목에 올라있어요. ‘상폐’ 소식은 주식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넘어서 공포 그 자체인데요. 특히 초보투자자들은 ‘이렇게 유명한 회사마저 상폐된다면 도대체 어떤 주식을 믿고 투자할 수 있을까?’ 하는 두려움에 주식투자를 멀리하게 됩니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이 있죠? 지금부터 모바일증권 나무와 함께 상장폐지에 관한 기본 내용.. 더보기 신혼부부 전세자금 완벽정리!! 많은 예비 신혼부부들이 결혼 전, 가장 크게 고민을 하는 것은 아무래도 ‘신혼집 마련하기’가 아닐까 싶은데요. 전셋값이 고공 행진을 하는 요즘이다 보니, 전세금 마련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신혼부부들이 많습니다. 결혼 자금만 하더라도 한두 푼 하는 것이 아닌데, 전세금으로 사용될 목돈까지 마련하기에는 아직 젊은 신혼부부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겠죠. 그런 신혼부부의 신혼집 마련을 위한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들이 있다고 합니다. 주택도시기금의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 중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도시기금에서 다루고 있는 개인 상품이며, 시중은행 중 우리은행,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신한은행에서 .. 더보기 눈 뜨고도 당하는 신종 금융사기수법 5가지 지난주 인기 개그우먼 이국주씨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지인을 사칭한 금융사기범과 주고 받은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공개하였습니다. ‘저 아니니까 지인분들 돈 빌려 주지 마세요’라는 메시자와 함께 말이죠. 금융사기범은 이국주씨에게 ‘급하게 송금해야 하는데 상황이 여의치 않으니 대신 송금을 해달라’고 했다는데요. 평소 그녀의 절친으로 알려진 나르샤씨도 똑같은 메시지를 받았다고 하네요.TV속 금융사기, 바로 내 이야기일 수 있습니다휴대폰 하나로 금융거래를 아무 문제없이 척척 해낼 것 같은20~30대. 그런데 의외로 청년층의 금융사기 피해사례가 상당하다고 합니다. 금융사기 세력들이 취업준비생이나 고시생들의 절박한 심정을 이용하거나, 결혼을 준비 중인 예비 신혼부부의 목돈을 노리기 때문입니다. 금융사기는 상대적.. 더보기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자금 알아보기 모르면 못받는 돈-정책자금 해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소상공인의 성장과 경쟁력 제고라는 목표아래 정책자금을 저리로 융자해 이용할 수 있게 만든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이다. 1999년 소상공인지원센터로 시작해 여러 관련기관과 통합을 통해 2014년도부터 현재의 모습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책자금 지원기관으로만 알려져 있지만 이외에도 소상공인을 위한 창업교육부터 마케팅지원, 전통시장 지원 등의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통해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소상공인'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우리가 흔히 자영업자와 동일한 개념으로 알고 있는 소상공인과 정책자금 지원제도상의 소상공인은 분명한 차이가 있다.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살펴보면 소상공인을 '중소기업기본법 .. 더보기 최저시급이 높은나라 top7 매년 화두가 되는 주제를 하나 꼽으라고 한다면 최저시급을 빼놓을 수 없다. 근로자와 고용주 간의 외줄타기와 같은 이 주제는 매년 뜨거운 감자와도 같다.그렇다면 최저시급은 얼마까지 받을 수 있으며 다른 나라의 최저시급은 얼마일까? 지금부터 최저시급의 다양한 정보를 함께 알아보자. 최저시급이란?최저시급이란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노사 간에 이루어지는 임금결정과정에서 국가가 정해놓은 최저수준의 임금을 말한다. 1986년부터 최저임금법을 제정 및 공포하였으며 근로자가 근무하는 모든 사업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또한 매년 8월까지 노동부장관은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다음 해의 최저임금을 결정하게 되어 있으며, 고시된 최저임금은 다음 해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효력이 유효하다.최저시급..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7 8 ···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