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급3

최저임금의 딜레마 최저임금을 2020년까지 1만원대로 끌어올리는 것을 새정부가 공약으로 내걸었다. 이전까지는 매년 6%가 인상됐지만, 올해는 16%가 인상이 되어 7530원으로 최저임금이 책정되었다. 역대 최대폭으로 오른 최저임금에서 피해를 보는 것은 소상공인과 저소득 근로자뿐일까? 임금을 올려 경제 선순환을 올리겠다는 것이 최저임금의 목표인데 이 정책의 논란과, 받게 되는 피해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자.전체 근로자 18% 330만명 최저임금 근로자이고 그 중 많은 사람들인 소상공인 사업자에 몰려 있다. 그래서 이 정책이 시행되기전 지불능력이 낮은 소상공인이 최저임금 인상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지금까지 이 정책이 시행되면서 실직을 하거나, 근무시간이 줄어드는 듯 피해사례가 쏟아져 나왔다.2020년.. 2018. 10. 27.
퇴사를 생각하는 당신에게 던지는 질문 퇴사한 지 1년이 넘었지만, 여전히 새로운 직장을 찾지 못한 실업자 비율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고용시장에 한파가 새로 취업을 하려는 청년뿐 아니라 재취업 시장에도 거세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전체 실업자 87만 4,000명 중 30.0%인 26만 2,000명이 1년 전 회사를 그만두고 직장을 찾지 못한 ‘1년 이전 취업 유경험 실업자’였다. 1년 이전 취업 유경험 실업자 비율이 30%대에 진입한 것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99년 6월 이후 처음이다. 보통 10%대에 머물렀던 1년 이전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대를 넘어섰다. 2012년 유럽발 재정위기 이후에는 20% 중후반대로 더 높아졌다. 최근 들어서는 줄곧 25%.. 2018. 10. 21.
우리나라 연봉, 미국 일본과 비교하면?? 한국의 기업규모별 임금 격차가 미국과 일본에 비해 훨씬 크다는 내용의 연구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중소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 국제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 종업원 1인당 평균 임금은 2016년 기준 월 3,164달러(약 358만원)입니다. 이 숫자는 미국 평균 임금의 77.4%이고, 일본 평균의 92.6%로 다소 낮은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그런데 혹시 여러분의 월급은 정말 358만원인가요? 그렇지 않은 분들도 많이 있을 텐데요. 그 이유는 회사 규모에 따라 월급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종업원이 1~4인 기업의 평균 임금은 미국의 53.6%, 일본의 75.9%에 그쳤고, 500인 이상 기업의 평균 임금은 미국 평균 임금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대기업과 중.. 2018.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