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분석5

06월05일 브리핑 📌오전 이슈 1. 美 비농업 부문 고용, 예상치 크게 하회…고용 둔화 뚜렷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21396?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2. 美 서비스업 경기, 1년 만에 위축 전환…신규 주문 감소에 물가 상승 겹쳐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21497?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3. 중국 웨버스 인터내셔널, XRP 준비금 전략 강화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21418?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4. SEC 앳킨스 위원장 “디지털자산, 처벌보다.. 2025. 6. 5.
06월02일 오전 브리핑 📌오전 이슈 1. 트럼프, 유학생까지 겨냥…“비자 취소 공포에 방학 귀국도 못한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9313?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2. JP모건 다이먼의 ‘달러’ 걱정… “미국의 적은 내부에 있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9337?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3. 리플, ‘SWIFT 대체’ 선언… “XRP·RLUSD로 글로벌 송금 혁신”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9319?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4. JP모건 CEO “미국.. 2025. 6. 2.
05월 30일 오전 브리핑 5월 30일 오전 브리핑 주요 저항자리 : 107K / 108.8K 주요 지지자리 : 103.8K / 102.3K 어제 저녁 단기이평선을 돌파하며 큰 상승을 보일것으로 보였으나 트럼프 행정부의 과한 관세부과를 문제삼았던 항소법원에 판결을 일시 중단했다는 뉴스와 함께 큰 하락을 보여줬습니다. 이로써 다시한번 관세관련 문제가 대두되며 악재로 해석을 했고 올해초 부터 시작된 상승추세선까지 이탈을 하였습니다. 브리핑 작성중에 이미 105K이탈을 확인했으므로 현재 조정폭이 어디까지 갈지가 가장 중요한데 신고점에서의 되돌림 자리인 103.2K 부근과 장기이평선지지라인인 102.4K 이자리를 가장 중요한 자리들이니 꼭 체크하셔야 합니다. 어제 근원PCE나 실업자 청구건수같은 지수들은 금리인하를 하는것에 더욱.. 2025. 5. 30.
05월 27일 비트코인 이슈 및 차트분석 📌오전 이슈 1. 이번 주 주목할 美경제지표 4가지… 비트코인 향방 가른다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5524?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2. 비탈릭 부테린 “위기 상황서 이더리움, 금융 대안 될 수 있어”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5530?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3. “일본 국채 시장 불안, 비트코인 급등 배경으로 부상” – 비트와이즈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5620?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4. 블록체인 그, 7200만 달러 규모.. 2025. 5. 27.
05월 26일 비트코인 이슈 및 차트분석 📌오전 이슈 1. “지갑 늘어도 ETF는 안 사라져”⋯캐시 우드, ETF는 ‘입문자 필수 통로’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4822?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2.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현금 대체하려면 민감성과 안정성 유지해야”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4909?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3. 일본, 스태그플레이션 악화…인플레이션 급등 속 경제 후퇴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914912?utm_source=telegram&utm_medium=social)4. 글로벌 채권 시장 흔.. 2025.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