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시세4

2018년 8월,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TOP15(1~8위) 2018년 8월,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TOP15(9~15위)8위 : 삼성동 중앙하이츠 빌리지 다음으로 삼성동에 소재한 중앙하이츠 빌리지 59㎡(구 20평형대)가 전고점 대비 2.3억이 상승하면서 약 14억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위치는 강남구청역과 반경 500m 거리에 입지해 있어 준역세권 아파트라고 볼 수 있습니다. 7위 문래 대림아파트 문래 대림아파트 최고가 갱신 면적은 59㎡로써 2016년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지난 1월에는 4억에 신고가를 갱신하게 됩니다. 그런데, 이번 8월에 무려 8천만원이 상승하면서 최고가를 새롭게 썼는데요. 역시 서울의 전반적인 상승 흐름이 아니라면 뚜렷한 원인을 찾기가 힘듭니다. 6위 : 구로동 주공2차 구로동에서도 가격 급등이 나타난 단지가 있습니다. 해당 단지는 주공.. 2018. 9. 24.
2018년 8월,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TOP15(9~15위) 8월부터 서울의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 전고점 대비 1억씩 상승한 단지들이 속출하고 있죠. 지금의 상승이 용산, 여의도 통합 개발 때문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그러한 설명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8.2 부동산대책 이후 국토부에서 다주택자의 아파트들을 임대사업자로 유도하면서 시장에 매물이 감소한 것을 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아파트 시장의 경우 실수요 대 투자자의 비율을 약 7:3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30%의 물량이 줄었다고 이런 상승이 가능할까 싶은 생각도 들 수 있지만, 사실 시장엔 다주택자들의 매물이 보다 많이 출현하죠. 실수요자의 경우 평균 7년 이상을 한 곳에서 거주하지만, 투자자의 경우 2~4년의 단위로 매도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갭(Gap)투자자의 경우.. 2018. 9. 23.
부동산, 다주택자는 얼마나 있나? 최근 주택 가격 상승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실수요자들이 아파트를 매수하기 위해 여기저기를 돌아다녀도 매물 품귀 현상으로 아파트 가격은 부르는 것이 값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큰 폭으로 상승하는 가격에 사람들의 조바심은 커지고 실수요자들이 더욱 몰리면서 주택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현재의 부동산 정책을 살펴보면 규제의 포커스가 너무 다주택자들에게만 몰려있으며, 현재의 주택 가격 상승 원인 역시 다주택자들의 투기로 인한 상승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현장에서 느끼는 것과는 조금 다른 느낌입니다. 현장의 부동산 종사자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여전히 한결같습니다. 투자자들이 아닌 실수요가 움직이고 있는데 시장의 매물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죠. 국토부 혹은 기재부의 새로운.. 2018. 9. 17.
왜 내 집값은 안오르지?? - 집값 상승을 만드는 현실적인 요인들 우리나라만큼 부동산에 대해 이리도 열광하는 나라도 흔치 않을 것입니다. 부동산이 주된 재테크의 수단이 되면서 특히, 아파트 가격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아파트가격이 일반적인 경제원리인 수요, 공급 원칙이 잘 안맞는 것 같이 보이는 이유가 단순히 주택보급률이나 인구증가율만 가지고 판단하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집값 상승을 이끄는 요인은 다른 지표에서 찾아야 합니다. 결국 어찌되었든 아파트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것이고 공급이 적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수요가 많다는 지표와 공급이 적다는 지표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 매물과 거래량매물은 공급지표입니다. 매물은 신축아파트에 한정되어 생각하면 안됩니다. 기존 아파트를 팔려는 사람이 없다면 공급이 적은 것으.. 2018. 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