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만들 때 준비해야 할 서류들이 조건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신분증만 있으면 되지 않나요?
결론은 아닙니다. 과거에는 신분증만있으면 그 누구든 신규 통장을 개설할 수 있었습니다. 요즘은 신규로 통장을 개설할 때, 여러 증빙서류가 필요해 번거롭습니다. 심지어 직장과 거주지역의 거리가 멀면 은행에서 통장 만들기도 쉽지 않습니다.
대출받는 것도 아니고 기타 금융 관련된 통장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이제 신규 통장을 만드는데도 까다로운 여러 조건이 필요합니다. 그 가장 큰 이유가 바로 통장 개설이 어려워진 이유는 보이스피싱 등 각종 범죄에 이용되는 대포통장 개설을 막기 위해서 입니다. 금융사기 및 대포통장의 잘못된 활요으로 규제가 심하게 들어간 것 입니다. 좋은 의도에서 시작된 번거로움이니, 우리 모두 조금씩 이해하며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게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요즘은 간단한 인증을 거치면 비대면 통장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각 은행사 마다 스마트폰 어플 등에서 만들 수 있으니 이것도 확인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은행에서 퇴짜 맞지 않고 한 번에 통장을 개설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아 보겠습니다.
직장인이라면?
당연히 신분증은 필수사항입니다. 그리고 현재 다니시는 직장의 재직증명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혹은 급여명세서가 필요합니다. 예전에 비해서 상당히 복잡해졌죠? 아무튼 새롭게 통장 개설하시려면 위 서류는 필수이니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급여통장 관련 개설을 위한 경우라면 새로 발급받은 통장을 급여통장으로 사용할 것이라는 증빙자료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명함, 재직증명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급여명세서 중 1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재직증명서는 국민연금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해 출력하거나 회사에 요청하면 서류를 받을 수 있습니다.
주부, 학생이라면?
학생은 소득이 없기 때문에 직장인과는 준비하는 서류가 다릅니다. 위에 말씀드리는 주부는 소득이 없는 주부를 의미합니다. 주부이신데 직장인이나 아르바이트 중이시라면 서류가 필요합니다. 이 경우에는 제한적인 통장이 발행됩니다. 은행 창구 100만 원, 자동화기기 30만 원으로 일일 이용금액이 제한됩니다. 단, 금융사마다 1인 1계좌만 가능하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포통장의 악용이 가장 쉬운 것이 학생 및 주부분들의 통장이기 때문도 있습니다. 글의 시작에서 말씀을 드렸다시피 학생 및 주부 분들은 은행 방문 없이 스마트폰으로 비대면 계좌를 만드시는 것이 더 편리한 방법입니다.
아르바이트를 하고 계신다면?
아르바이트생 분들이 가장 까다로운것 같아요. 역시 신분증은 기본입니다. 여기에 업주분께 급여명세표, 계약서, 업주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지참하셔야 합니다. 사실 이경우가 참 복잡합니다. 사장님께 요청해야하는 사항이라 번거롭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업주분들은 아르바이트 분들께 꼭 서류 챙겨주셔야 합니다.
사업자라면?
사업하고 계신데 사업자 이름으로 통장 만드시려면요. 사업자등록증, 물품공급계약서, 세금계산서 재무제표, 납세증명서, 부가가치세납부 증명서류 등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업태와 업종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방문 전에 확인을 하고 가시면 좋습니다.
아파트 관리비, 공과금 등 자동이체 계좌로 이용하려면?
공과금이나 아파트 관리비 등 자동이체를 위해 계좌가 필요할 경우에는 공과금 납입영수증(명세서) 혹은 아파트관리비 영수증, 아파트입주민 증빙서류 등이 있으면 됩니다.
여기까지, 통장을 개설하기 위해 필요한 서류들을 살펴 보았습니다. 이제는 신분증 하나만 은행에 들고 가면 별다른 소득 없이 돌아와야 하는 일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통장만들 때 필요한 것을 잘 확인하셔서 재테크의 첫 걸음을 시작해 보시면 어떨까요?
'금융 >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짜 '집값'은 얼마일까? - 아파트원가 공개 (0) | 2018.10.03 |
---|---|
2018년 가장 비싸게 거래된 아파트 top10 (0) | 2018.10.02 |
연금을 둘러싼 불편한 진실 (0) | 2018.09.28 |
9.21 추가 부동산 대책 살펴보기 (0) | 2018.09.27 |
카드 소득공제 최대한 받는 방법 6가지 (0) | 2018.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