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대출지식

정말 신용1등급이신가요? - 고평가된 신용등급

신용평가사(CB)에서는 1등급인데 실제로 대출을 받을때는 고금리가 적용되는 분들이 있습니다.

신용등급 1등급인 직장인 A씨는 추가 전세자금 마련을 위해 은행을 찾았지만, 대출을 거절당했습니다. 그 이유는 기존에 받은 대출이 많아 추가 대출이 어렵다는 것이였습니다. 그래서 A씨는 저축은행을 찾았지만, 저축은행에서의 자체 신용평가에서는 3등급을 받아 10%대 후반 금리를 적용받았습니다.

이처럼 신용등급 1등급인 소비자가 저축은행에 갔을 때 3등급이나 4등급을 부여받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저축은행이 자체 업권 특성에 맞는 자체 신용평가 기법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대형 저축은행들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등이 적용된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SBI저축은행과 웰컴저축은행은 지난해(2017년), OK저축은행은 올해(2108년) CSS 고도화를 마쳤습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공시된 신용등급별 금리는 신용평가사(CB) 등급으로 적용된 금리”라면서 “1등급 고객이라도 저축은행에 오는 이유는 다중채무자거나 한도를 초과한 고객이 많아 실제 적용되는 금리는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현재 중앙회에 공시된 나이스신용평가의 신용등급평가반영비중을 보면 상환이력정보가 40%, 신용형태정보가 26%, 현재부채수준이 23%, 신용거래기간 11% 등입니다. 하지만 저축은행을 찾는 고객 대다수는 다중채무자거나 한도를 꽉 채운 고객이 많아 현재부채수준을 20% 수준 반영하는 이 지표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 입니다. 때문에 신용등급 평가상 1등급 고객도 고금리를 적용 받는 사례가 적지 않습니다. 실제 저축은행중앙회 공시를 보면 31곳 저축은행 중 신용등급 1등급 고객에게 연 14%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는 저축은행은 11곳이나 됩니다. 이 때문에 높은 신용등급을 가진 우량고객에게도 고금리를 적용하고 있다는 비판도 받았습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신용등급이 좋아도 다중채무자거나 가정주부, 학생 등 소득 소득이 없는 고객도 많아 깐깐한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으로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은 실제 빅데이터를 활용한 머신러닝 기법 외에도 신용관리 성향이나 생활, 소비패턴 등을 확인하는 통신관련 비금융정보인 텔코 데이터(Telco Data), 통장거래내역의 정보를 자동(스크랩핑, OCR)으로 인식·분류해 신용평가에 반영하는 통장거래내역 자동분석 등을 신용평가정보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은 CSS 고도화로 기존 CSS 대비 5% 이상 고객등급이 올랐고, 승인대상자 확대 및 불량률도 10% 개선되는 효과를 거둔 사례가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신용 1등급이라도 막상 저축은행에 대출을 받으러 오면 소득이 없거나 다중채무자인 사람이 많아 등급이 내려가는 사례가 많다”며 “부실률을 줄이기 위해 자체 CSS를 구축해 운영하다 보니 공시와 실제 적용되는 금리 괴리가 큰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자신이 신용평가사(CB)에서 신용1등급으로 판정을 받았더라도 실제로 대출을 받을 때는 3~4등급으로 하향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출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신용등급 뿐만 아니라 자신의 채무상태도 다시 한 번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사업자 정보 표시
대한재무관리 대부중개 | 임상욱 |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96, 에이스테크노타워10차 6층 608호 | 사업자 등록번호 : 581-68-00120 | TEL : 02-1661-7965 | Mail : ansgpqhd@gmail.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