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집값2

서울, 분위별 아파트 시세 비교 최근 ‘강남불패신화’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강남은 절대 집값이 떨어지지 않는다.’‘강남은 투자가치가 높아 타 지역에 비해 더욱 많이 상승할 것이다.’‘부동산에 투자하려거든 강남에 투자하라.’ 또한 재건축 규제가 이루어지면서 강남 신축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해가고 있죠. 이에 강남의 상승세는 더욱 무섭게 상승해가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마포, 용산, 성동구의 아파트 가격도 급등하면서 ‘마용성’이라는 신조어까지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죠. 그리고 오르는 곳만 오른다는 믿음이 강해지면서 실수요자들조차 지금이라도 해당 지역에 진입해야 할까 고민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무리해서라도 강남3구 혹은 ‘마용성’에 투자를 해야 할까요? 이에 과거의 주택시장을 뒤돌아보며.. 2018. 9. 25.
왜 내 집값은 안오르지?? - 집값 상승을 만드는 현실적인 요인들 우리나라만큼 부동산에 대해 이리도 열광하는 나라도 흔치 않을 것입니다. 부동산이 주된 재테크의 수단이 되면서 특히, 아파트 가격에 대해 많은 국민들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아파트가격이 일반적인 경제원리인 수요, 공급 원칙이 잘 안맞는 것 같이 보이는 이유가 단순히 주택보급률이나 인구증가율만 가지고 판단하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집값 상승을 이끄는 요인은 다른 지표에서 찾아야 합니다. 결국 어찌되었든 아파트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그만큼 수요가 있다는 것이고 공급이 적다는 의미입니다. 그렇다면 수요가 많다는 지표와 공급이 적다는 지표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 매물과 거래량매물은 공급지표입니다. 매물은 신축아파트에 한정되어 생각하면 안됩니다. 기존 아파트를 팔려는 사람이 없다면 공급이 적은 것으.. 2018. 9. 15.